[2021 전국연대 연속강연-“왜 노르딕 모델인가”]

해외의 성산업 현실과 법제도, 운동지형 등을
각국의 반성매매 활동가들을 통해 듣는 연속강연을 시작합니다!
 
7월 9일-23일, 매주 금요일 당사자활동가 연속강연
8월 27일, 4개국 당사자활동가 초청 웹포럼(coming soon!)
 
“왜 노르딕 모델인가”
성매매 경험당사자
전지구적 연대의 목소리를 듣는다
 
◎ 일시 및 강연자
– 7.9(금) 오후 7시-9시 독일, ‘Netzwerk Ella’ 설립자 후스케(Huschke Mau)
– 7.16(금) 오후 7시-9시 뉴질랜드, ‘Wahine Toa Rising’ 공동창립자 앨리 마리 다이아몬드(Ally-Marie Diamond)
– 7.23(금) 오후 7시-9시 스웨덴, ‘Inte Din Hora’ 멤버 카이자(Cajsa)
 
◎ 참가비
– 강연 당 15,000원 / 3강 모두 신청 시 30,000원
*전국연대 후원회원 전강연 무료
– 납부계좌
우리은행 1005-802-944790(예금주: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
 
◎ 참가신청
 
◎ 주최 및 주관
성매매경험당사자네트워크 뭉치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 문의 및 연락
2004-609@hanmail.net / 02-928-8297
 
◎ 후원
Donor Direct Action
활동소식

[2020 기획강좌 현장스케치] 2강, 섹스/젠더 체계와 여성거래의 이론

지난 7월 29일부터 31일까지 전국연대 2020 기획강좌, <‘여성거래’, 무엇이 성착취를 가능하게 하는가>를 진행했습니다. 텔레그램 성착취부터 현실의 성산업까지, 여성 대상 성착취의 근본을 정조준 하기 위한 논의들을 이어갔습니다. 현장에 오시지 못한 분들을 위해 아주아주 간략하게 당일 강의 내용을 공유합니다.

<2강, 섹스/젠더 체계와 여성거래의 이론_김주희(서강대 트랜스내셔녈인문학연구소)>

“여성 교환이론이라는 것은 여성의 억압을 규명하고자 하는 이론가들이 어떤 방식으로 여자들이 마치 상품이나 화폐와 같은 방식으로 교환되어 왔는가를 탐구해왔고, 이런 이론들이 상당히 방대합니다. 여성 억압을 설명하는 가부장제 이론, 여성 억압의 체계에 대한 이론, 가족제 생산양식에 대한 연구 이 모든 것들이 큰 틀에서 보면 여성교환이론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페미니즘 연구 전반을 여성교환이론이라고도 또 아주 굉장히 커다랗게 정의해 볼 수 있을 정도로 아주 방대한 이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인류학에서의 여성거래 이론

폭력과 시장경제의 등장

“많은 인류학자들이 이야기 한 건, 여자들은 교환이 되어왔고 그것들이 바로 친족체계를 만드는 핵심에 있었는데 중요한 것은 이는 노예상태와 다르다는 거죠. 왜냐하면 가격이 매겨지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여자에게 가격이 매겨지는 순간 폭력이 개입하고 어떤 방식의 강제적 조치들이 개입하기 시작했다는 것이죠”

“그래서 데이비드 그레이버는 메리더글라스의 논쟁을 이렇게 정리합니다. 사람을 직접 사고 파는 문제가 생긴 것은 어디까지나 폭력이 개입되었을 때 가능한 일이었다.”

“어떤 시기에 어떤 가정 속에서 여자들이 교환되었는가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거예요. 모든 여자의 교환 자체도 물론 중요한 문화적인 현상으로 포착해야 하지만, 인류학자들이 들여다보고 있는 것은 여기서 화폐가 어떤 역할을 했는가 입니다”

여성의 교환과 친족체계의 형성

“결국 여성들이 자신에 대한 권리를 스스로 가질 수 없는 것은 여성들이 이러한 채무 교환에서 선물, 담보, 지불 가치, 질물, 볼모 등으로 제공된다 라는 것이죠. 그러니까 여자는 다른 이름이 붙어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내 자신에 대한 권리가 나에게 있지 않잖아요. 나는 어떤 부채관계에 대한 답례품으로써 제공된다던지. 하지만 여성이 교환 가능한 항목으로 기능한다는 것은 여성의 몸에 부여된 특정한 사회적, 경제적, 상징적 가치가 교환을 매개로 하는 일정한 형태의 경제를 만들어낸다는 것입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그런데 왜 교환됐지? 한번 질문해 봐야 한다는 거죠. 왜 여자가 교환되냐, 그것은 사회문화적으로 교환되는 이유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중요한 것은 지금, 이 사회에서 왜 여자들이 룸살롱에서 성매매업소에서 왜 여자들이 계속 제공되고 있지? 이런 질문들을 해봐야 합니다. 이것들은 무엇과, 어떤 이익과 어떤 권력행위와 연계되어 있는가. 특히 우리사회에서 그렇게 거대한 성산업들이 만들어진다면. 그것들은 문화적, 사회, 경제적으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면 최소한 우리는, 반성매매 활동을 하고 있는 우리는 그것들이 어떤 가치들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여자들이 이러한 교환물이 되고 있는가에 대한 생각들을 해볼 수 있다는 것이죠.”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섹스/젠더 체계

“어떤 관계 속에서만 그것이 자본으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는 거예요. 여자만 보는 게 아니고. 어떤 관계가 생물학적인 여자를 억압받는 여성이 되도록 만드는 걸까? 바로 러빈이 프로이트와 래비스트로를 경유해서 섹스/젠더 체계를 만들어내는 것이죠. 수태능력만으로 여자가 볼모가 된다고 학자들이 분류해 냈지만, 볼모가 돼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를 봐야 한다는 거죠. 그 안에서 무슨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자가 그 위치에 놓여 있는지를 질문하지 않은 것이죠. 그래서 바로 섹스/젠더 체계는 어떤 방식의 생물학적 능력이나 형태들이 어떤 방식의 가치를 가졌다, 가지지 않았다고 분류되고 있는가, 그것들은 어떤 사회에서 어떤 식의 가치와 함께 움직이는가와 함께 이야기 되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그 수태능력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라는 거죠. 누구에게 아이의 성이 가고, 누구의 일이 하찮은 것이 되고 누구의 상속 관계, 재산 관계를 만들어내며. 이런 식의 시스템들을 함께 봐야한다고 이야기 한 게 게일러빈의 이야기입니다.”

“여성이란 무엇인가? 여자, 인간 종 여자. 맞지. 근데 관계를 봐야 해요. 관계. 그녀는 특정한 관계속에서만 하인, 아내, 재산, 플레이보이 바니걸, 매춘부 혹은 인간 속기록 기계가 된다. 그러니까 어떤 관계를 어떤 문화적 관계 속에서 맺고 있는지를 끊임없이. 그래서 사실은 어떤 보편적인 여자를 넘어서서 어떤 방식의 관계 속에서 우리가 어떤 여자로 만들어지고 있고 중요한 것은 만들어진 여자가 어떤 가치를 갖고 있다고 사회적으로 평가되는가가 중요합니다.”

활동소식

[2020 기획강좌 현장스케치] 1강, 디지털자본주의와 여성 섹슈얼리티

지난 7월 29일부터 31일까지 전국연대 2020 기획강좌, <‘여성거래’, 무엇이 성착취를 가능하게 하는가>를 진행했습니다. 텔레그램 성착취부터 현실의 성산업까지, 여성 대상 성착취의 근본을 정조준 하기 위한 논의들을 이어갔습니다. 현장에 오시지 못한 분들을 위해 아주아주 간략하게 당일 강의 내용을 공유합니다.

<1강, 디지털자본주의와 여성 섹슈얼리티_김애라(한국여성정책연구원)>

디지털자본주의와 플랫폼, 디지털 노동

“(디지털 노동이 뭐냐면) 이용자들의 참여활동이 자본주의적 가치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이게 노동이라는거죠. 재미로 하고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는 수익을 얻는다는거죠. 우리의 활동을 통해서”

“흥미롭게도 또 모순적이게도, 직접적인 착취나 강제와는 상관없는 자유로운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탈계 같은 얘기를 할 때도 스스로 자초한 일이다, 자발적으로 위험을 초래했다, 이런 얘기를 하지만, 실제로는 디지털자본주의는 굉장히 구조화된 체계로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구조 안에 들어간 이상, 구조에 알맞은 콘텐츠를 생산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죠. 그렇기 때문에 자발이라든지, 개인의 자유로운 참여라는 것 만으로 이것이 노동이 아니다 착취가 아니라거나 이렇게 말하기 굉장히 어려운 지점이 생기는 것이구요”

여성 이용자들은 어떤 식의 디지털 노동을 하는가

“디지털 컨버전스, 융합의 시대,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토대가 디지털미디어다 라고 하지만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성차별이나 여성에 대한 성적대상화가 있는 사회 속에서 디지털이라는 신기술이 등장했다고 해서 갑자기 기존의 것들이 사라지는가? 절대 아니고 오히려 강화되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탄생했다는거죠. 이런 식의 주목을 통한 더 많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성공적인 디지털 노동자가 될 수 있는 쇼셜 미디어 장에서 여성들은 무엇을 통해서 이런 커뮤니케이션을 발생시킬까? 주목을 발생시킬까? 하면 주로 기존의 이성애적 여성성을 크게 벗어나기 어렵다는 거죠.”

여성들의 섹슈얼러티가 온라인 상에서 어떻게 자본화, 상품화되는가?

“얼마 전에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벗방’과 관련된 방송을 보면서 제가 논문 쓸 때 만났떤 여성들과 그때 파악했던 소셜미디어 자본주의 시장과 너무 똑같아서 충격받았었어요. 스펙트럼이 이렇게 되어 있는거죠. 연속성. 성매매여성 일반여성에 이르기까지 교환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는, 특히 성별화된 노동 분야에 있어서는 여성의 노동은 성적인 것을 아주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고는 이해하지 못해요.”

“성별화된 노동 분야에 있어서는 노동시장에서 교환가능한 것으로 여겨지는 여성의 노동이라고 하는 것들은 성적인 것을 아주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고는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들이 많습니다. 디지털 자본주의에서는 여성들의 신체를 특정한 방식으로 생산한다는거죠.”

“누가 성적 욕망과 성적 재현을 하는가, 또는 누구를 대상으로 성적인 재현을 하는가를 봤을 때, 그 구도가 안 바뀐다는 거죠. 아무리 신기술을 갖다놔도, 비대면이라 해도 전혀 바뀌질 않는다.”

디지털자본주의에서의 여성 섹슈얼리티

“여성들이 스스로 사진을 올리고 성애화된 이미지를 스스로 올릴 때 긍정적인 효과나 영향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아요. 여성들이 성적 자유라든지 표현할 수 있는 권리가 문화로 형성되는 측면도 있으니까요. 그런데 플랫폼 자본주의가 돌아가는 구조를 이해하면, 그리고 단적으로 엔번방 같은 것을 보면 여성들이 자신의 성적 재현을 그것이 아무리 의미의 전유를 한다고 해서, 의미의 전환을 거쳐서 업로드를 한다고 해서 그런 식으로 의미가 전달되느냐, 그것은 다른 것이 같이 바뀌어야만 가능한거지, 기존의 문법을 그대로 차용하면서 올렸을 때 어떻게 소비되냐면 기존의 문법으로 소비된다는거죠. 내가 찍고자했던 의미나 의도와 무관하게.”

“콘텐츠 상품의 스펙트럼, 연속성에서 여성의 성적 대상화된 이미지를 구별해낼 수 있을지 고민이 돼요. 성적 콘텐츠의 생산자가 누구인지, 사진에 나온 사람이라고 하는데 그게 맞나? 그 여성이 유일한 생산자인가? 이미지의 생산자는 플랫폼 자본주의이기도 하고 잠재적 소비자들이기도 하거든요. 여성들이 주체적인 성적 섹슈얼리티를 향유한다는 것, 온전히 통제한다는 것이 가능할까? 이를 어떻게 할 수 있을지 고민이 됩니다.”

자료실